[제180호 11/10] PVC 창호 압출 생산량 25만톤 가능할까?

하반기 입주물량 증가세 계속돼 PVC 창호재 투입량도 증가 예상


작년 말
222,000여톤을 약 3만여톤 뛰어넘는 약 25
만 톤 예측
 올해 상반기 PVC 창호용 프로파일 압출 생산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하반기의 압출 생산량에도 더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. 업계에서는 이런 추세가 하반기까지 이어져 올해 말엔 작년 말 222,000여톤을 약 3만여톤 뛰어넘는 약 25만 톤의 압출 생산량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. 이는 현재 준공완료된 주택 공급량이 242,000여 세대이고, 이 물량이 전년동기대비 약 28% 증가한 것에 따른 전망이다

 통계청 자료에 따르면, 올 상반기 PVC 창호용 압출 프로파일 생산량은 작년 동기 대비 7.4% 증가한 약 12780. 이는 2007년 상반기(121,300여톤)에 이어 같은 기간 중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압출물량이다. 하지만 하반기에 입주예정된 주택 공급량이 2007년과는 다른 증가세이고, 마감재 특성이 있는 PVC 창호재도 이에 맞물리기 때문에 올 연말의 예상 증가치에 관심의 초점이 모아지는 것이다
.
 국내 주택시장은 2014년부터 분양이 호황을 타기 시작해 착공물량이 매년 늘어나고 있다. 올해의 경우 총 2.5에서 내년엔 3.2까지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보여 이러한 증가세는 계속될 전망이다. 특히 올해 주택 인허가 실적은 총 765,000여 가구로 38년만에 최고치며, 인허가 및 착공실적 모두 증가하고 있다. 한편, 작년 기록한 PVC 창호 압출 프로파일 생산량은 222,000여톤으로 201322만톤에 접어든 이후 지속적으로 연간 20만톤 이상의 생산량을 선보였다

KCC, PVC
창호 압출량 최대치 폭주
’ 
올해 매출 35,890억원 영업이익 3,690
억 원 예상
 이에따라 PVC 창호 압출업체의 프로파일 물동량도 역대 최고 수준인 것으로 전해진다. 현재 PVC 창호 압출 업체 중 가장 최대의 생산물량으로 연일 폭주를 기록하고 있는 KCC는 수주물량 증대로 전주 생산공장과 임가공 생산업체의 생산량을 배 이상 더 늘리고도 빠듯한 공급 일정을 나타내고 있고, 압출업체 뿐만 아니라 래핑 임가공 업체까지도 더 섭외하여 운영하고 있다
.
 KCC는 아파트 등 대규모 특판시장에서 선전해 자체 생산 중인 건자재의 전체 매출 비중이 지난해 38.8%에서 올해 42%, 내년 49%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 KCC는 특히 PVC 창호에서 약 8%, 유리에서 6%의 영업이익률을 기록, 올해 매출 35,890억원 영업이익 3,690억 원을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. 이는 작년보다 매출은 5.1%, 영업이익 19.4% 늘어난 것이다.

 PVC 창호 임가공 업체의 압출량도 작년대비 5~10%
증가
 현재 대기업 임가공업체가 다수 포진돼 있는 충청권 일대와 부산, 대구, 전라도, 경기도 일대의 임가공업체 물동량도 증가했다. 충청권 일대 임가공 업체 6개사에 따르면, 10월 현재 업체당 월 300여톤에서 1,000여톤까지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. 이들 업체의 압출대수는 약 60여대. 특히 이들 업체에 포함되지 않은 한 대기업 OEM 업체에서는 약 33대의 압출기에서 월 2,800여톤의 압출량을 생산한다고 밝혔으며, 모두 작년 대비 5~10% 내외의 생산 증가치를 보인다고 전했다
.

PVC
수지 가격 보합세, 당분간 수요증가에 전념
하지만 치열한 가격경쟁과 늘어난 경쟁업체 때문에 수익성은 글쎄

 이런 가운데 PVC 창호 수익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PVC 수지 가격도 당분간 보합수준이라는 관측이어서 업계에서도 당분간은 수요증가에 전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. PVC 창호의 주요 원료인 PVC수지 가격은 톤당 1,090원대로 20131,280원대 대비 14.8% 떨어졌으며, 이는 2년 전 배럴당 100달러선이던 국제유가가 2014년부터 30~40달러로 유지되며 절반 이하로 떨어졌던 데 영향을 받은 것이다
.
 하지만, 업계일각에서는 납이 포함되지 않는 무납새시등 친환경 창호를 요구하는 정부기조에 발맞춰 나가기 위해 무납새시로의 전환 등에 따른 비용 상승문제가 있는 등 원자재 가격은 떨어진 상태지만 다른 원가 상승요인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경영 애로점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걱정스런 목소리를 내고 있다. 여기에 업체간 심화된 경쟁으로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이 상쇄할 수 있는 유통가격마진을 깍아먹는 결과가 되고 있다

 업계 관계자는 현재 시판시장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가 업체간 심화된 가격경쟁이다. 더구나 한정된 시장에서 우후죽순 경쟁업체들이 생겨남으로써 제 가격을 받을 수 없고 일감마저 줄어들고 있다.”고 밝혔다. www.windowjournal.co.kr